목록2025/06/19 (3)
살림과 일상

트럼프와 일론 머스크 결별, 단순한 감정싸움이 아니다: 미국 정치와 경제에 미친 파장2025년 상반기, 미국 정계와 경제계를 동시에 뒤흔든 뉴스가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와의 관계를 공개적으로 종료한 것이다. 단순한 불화가 아니라, 미국 정치를 좌우할 ‘권력과 자본’의 전면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1. 파경의 배경: 예고된 결별트럼프가 머스크를 손절한 이유는 단순했다.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 이승원 교수는 이들의 결별을 오래전부터 예견해왔다. 성격도, 정책도 맞지 않는 두 사람은 결국 격렬한 방식으로 결별했고, 이는 트럼프 취임 3개월 만의 일이었다. 머스크는 백악관 내부에서도 논란을 일으켰다. 국제개발처 셧다운, 장관들과의 충돌, 위스콘신 대법관 선거 실패 등, 트럼프 입..

신정부 부동산 시장 전망 한눈에 보기 – 금리·재정·양극화, 어디로 갈까? 1. 새 정부 출범, 왜 다시 부동산인가?이재명 정부가 문을 연 뒤 가장 먼저 튀어 오른 관심사는 단연 집값입니다. 세종·초광역권·특별자치도 공약으로 “지방 살리기”를 외치지만, 서울 아파트값은 벌써 기지개를 켰습니다. 거꾸로 5대 광역시는 하락 추세. 이 극단적 비대칭화(양극화)가 한국 부동산의 새 화두가 됐습니다.2. 금리 사이클이 바꾼 흐름2022‒23년 초고속 금리 인상은 초인플레이션 방어용이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미국·영국·캐나다 등이 잇따라 기준금리를 낮추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은행도 2% 물가 목표 아래 2.5% 금리를 유지 중인데, 5월 CPI가 1.9%로 내려앉자 “추가 인하”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문제는 금리가 내..

집 가진 죄 vs 숨 쉰 죄?헨리 조지의 눈으로 본 토지보유세와 탄소세의 숨은 공통점요즘 뉴스나 SNS를 보다 보면 이런 말들이 종종 보입니다.“이제는 숨 쉬는 것도 죄야?”“땅값 오른 게 내 잘못인가?”한쪽에서는 탄소세를 걱정하고, 다른 쪽에서는 토지보유세를 억울해합니다.하지만 잠깐 멈춰서 이런 질문을 던져보면 어떨까요?“그 ‘공기’와 ‘땅’, 누가 만든 걸까?”바로 이 질문에서 출발한 사람이 있습니다. 19세기 미국의 경제학자, 헨리 조지(Henry George)입니다. 그는 놀라운 통찰을 남겼습니다.“사람이 만들지 않은 것을 누군가 독점해서는 안 된다.”이 글에서는 헨리 조지의 눈을 빌려 토지보유세와 탄소세의 철학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쉽게 풀어보려 합니다. 우리가 왜 ‘집 가진 죄’처럼 느끼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