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난카이 대지진
- 치매
- 연산군
- 차별금지법
- 치매 예방
- 인조
- 희년
- 티스토리챌린지
- 노벨문학상
- 선조
- 보유세
- KF-21
- 비상계엄
- 2025년 예언
- 사림파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한강
- 폐비윤씨
- 민본
- 희년실천
- 전강수
- 문재인 부동산
- 훈구파
- 광해군
- 이순신
- 불로소득 시대
- 오블완
- 부동산과 정치
- 임진왜란
- Today
- Total
목록사회문제 (182)
살림과 일상
싱크홀, 땅 아래 도사린 부실 개발의 경고발밑 정의가 빠진 도시는 언제든 무너진다 1. “잠깐 움푹 패였을 뿐”이라는 착각이 만든 참사3월 24일 저녁, 서울 강동구 명일동 사거리는 폭 20 m‧깊이 20 m의 검은 구멍으로 변했다. 오토바이 운전자는 그대로 추락했고, 현장은 두 달 전부터 균열과 쇠봉 파손이 경고를 보내고 있었다. 하지만 작은 싱크홀을 모래로 덮었을 뿐, 근본 조치는 없었다.4월 11일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선 왕복 6차선이 갈라지듯 꺼졌다. 전날 방음벽이 기울었고, 파쇄 작업은 멈추지 않았다. 이어 4월 13일 부산 사상 하단선 공사장 인근에서도 전신주가 ‘쑥’ 빨려 들어갔다. 두 해 동안 같은 노선에서만 15건―한 달에 한 번꼴―로 싱크홀이 뚫렸다.2. 대형 싱크홀의 구조적 원인..

[팩트체크] 서울시 싱크홀 정보 공개, 정말 집값 떨어트릴까?지난 3월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직경 20m, 깊이 30m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해 배달노동자 한 명이 목숨을 잃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불과 9일 후, 같은 구의 길동에서도 도로 한가운데 싱크홀이 생겼습니다.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면서 서울시에 싱크홀 위험 지역 정보를 공개하라는 요구가 빗발쳤습니다. 그러나 서울시는 “정보 공개 시 불필요한 불안과 부동산 시장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며 공개를 거부했습니다.그렇다면 정말 싱크홀 정보 공개가 집값을 떨어트릴까요? 이 주장의 사실 여부를 하나씩 따져보겠습니다.1. 서울시의 정보 비공개, 법적 근거는?서울시는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작성했지만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유는 국가공간정보기본법과 자체..

“중국 붕괴 시나리오”가 던지는 질문―위기 속에서 한국이 잡을 기회는 무엇인가?부동산 버블 · 청년 실업 · 내수 침체로 흔들리는 중국. 대만 침공 실패가 가져올 붕괴 도미노, 그리고 이 거대한 변곡점이 한국에게 열어 줄 경제·지정학적 기회를 짚어봅니다.1.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 그리고 거대한 균열의 징후일본 열도를 뒤흔드는 잦은 지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남중국해의 군사적 긴장…. 글로벌 공급망 전반이 흔들리는 가운데, 중국이 대만을 무력 침공할 가능성은 국제 질서를 송두리째 바꿀 도화선으로 지목됩니다. 시진핑 주석은 국내외 압력 속에서 마지막 승부수를 던질 수 있지만, 실패할 경우 중국은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흔들릴 가능성이 높습니다.2. 뇌관이 된 중국 경제―부동산 버블과 지방정부의 ..

서울고등법원의 선택, 실패한 쿠데타에 동조할 것인가?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중대한 기로에 섰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문건과 조희대 대법원장이 주도한 이재명 후보 선거법 판결은 서로 다른 수단을 가졌지만, 민주주의를 훼손하려 했다는 점에서 본질은 같다. 하나는 무력을 통한 쿠데타의 시도였고, 다른 하나는 사법권을 통한 국민 선택권 침해였다. 이 글은 그 중심에서 서울고등법원이 어떤 선택을 할지 묻고 있다.졸속 판결의 본질: 읽을 수 없는 '6만 쪽'이 사건의 핵심은 '시간'이다. 대법원은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로 전격 회부했고, 선고까지 걸린 시간은 고작 며칠. 무려 6만 쪽에 달하는 방대한 기록을 그렇게 짧은 시간에 모두 검토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는 단순한 과..

서울시 싱크홀 지도 비공개 논란, 시민 안전은 뒷전인가?서울시가 싱크홀 위험 정보를 담은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만들어 놓고도 이를 비공개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도에는 총 181개 도로의 지반 상태와 지하 시설 정보를 종합해 위험도를 다섯 등급으로 나눈 내용이 담겨 있지만, 서울시는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과연 집값이 시민의 생명보다 중요한 것일까요?연희동 사고 후 만들어진 지도, 강동구 사고 이후 돌연 비공개서울시는 2023년 8월 연희동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로 한 시민이 사망하자, 싱크홀 위험 지역에 대한 지도를 만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2024년 강동구에서 또 다른 싱크홀 사고로 사망자가 발생하자, 서울..

서울 강동구 대형 싱크홀 사고로 본 원인, 위험성, 예방 대책 총정리2024년 3월 24일, 서울 강동구 왕복 6차선 도로 한가운데에서 거대한 싱크홀이 발생했습니다. 지름 20m, 깊이 18m에 달하는 이번 사고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싱크홀 중 가장 큰 규모로 추정됩니다. 특히 이 사고로 안타깝게도 한 시민이 목숨을 잃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싱크홀, 왜 생길까?싱크홀은 크게 두 가지 원인으로 나뉩니다:자연적 원인: 석회암 지역 등 자연 침식으로 발생 (국내 빈도 낮음)인위적 원인: 노후 상하수도관 파열, 지하공사, 지반 약화 (국내 주요 원인)서울시 통계에 따르면 전체 싱크홀의 60%가 노후 상하수도 관로 문제로 발생합니다.📌 주요 사례로 본 싱크홀의 현실2014년 송파 석촌동: 지하철 공사 중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