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일본 대지진
- 갑자사화
- 부동산과 정치
- 사림파
- 티스토리챌린지
- 노벨문학상
- 치매
- 한명회
- 폐비윤씨
- 을사사화
- 전강수
- 오블완
- 이순신
- 비상계엄
- 소년이 온다
- 선조
- 치매 예방
- 한강
- 차별금지법
- 민본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난카이 대지진
- 연산군
- 훈구파
- 불로소득 시대
- 희년
- KF-21
- 임진왜란
- 문재인 부동산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Today
- Total
목록역사이야기 (84)
살림과 일상

역사 속 위대한 리더는 시대의 혼란을 넘어 통합과 변화를 이끌어냈습니다. 조선 시대의 두 대표적 군주인 세종과 정조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분열을 극복하고 나라를 바로 세웠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왕의 리더십 스타일을 비교 분석하며, 우리가 오늘날 어떤 리더십을 필요로 하는지 함께 고민해보고자 합니다.세종: 소통과 시스템의 리더십세종은 백성과 신하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소통 중심의 리더였습니다. 대표적인 업적 중 하나인 훈민정음 창제는 당시 지배층의 강한 반대를 무릅쓰고 추진한 일이었습니다. 일부 지식인은 새로운 문자가 자신들의 권력을 위협할 것을 우려하며, 중국과 다른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오랑캐 짓’이라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세종은 신중한 설득과 인내를 통해 반대를 극복하고, 1446년 훈민..

현대 사회에서 '부자'라 하면 화려한 생활을 떠올리기 쉽지만, 경주 최부잣집은 전혀 다른 길을 걸은 명문가였습니다. 무려 12대 400년 동안, 이들은 상생과 나눔의 정신으로 진정한 부의 가치를 실현했습니다.🌱 나눔과 상생으로 이룬 지속 가능한 부최부잣집은 흉년에는 땅을 사지 않고 소작료를 낮추며, 어려운 이웃과 함께했습니다. 손님이 많을 때는 쌀 한 줌과 과메기 한 마리만으로도 밥과 잠자리를 제공받을 수 있었고, 지위와 상관없이 모든 손님에게 능이와 과메기를 기본 반찬으로 대접했습니다.이러한 인심은 문화와 정보 교류의 장이 되어 전국적으로 최부잣집의 명망이 퍼지게 되었습니다.🏯 무인 가문의 명예, 최진립 장군최진립 장군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에서 활약하며 무인의 정신을 보여주었습니다. 전쟁에서 공을 ..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 노량해전은 단순한 해전이 아니라 조선의 운명과 동아시아의 질서를 뒤흔든 역사적 분수령이었습니다. 이 전투를 이끈 이순신 장군은 마지막 순간까지 국가와 백성을 지키겠다는 사명감으로 싸웠으며, 그의 통찰과 결단력은 오늘날까지 깊은 울림을 줍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 그리고 흔들리는 일본1598년, 일본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면서 일본 내부는 혼란에 빠졌습니다. 히데요시의 아들이 겨우 다섯 살에 불과했던 탓에, 후계 문제를 둘러싼 권력 다툼이 벌어졌고, 이는 일본의 조선 침략 전략에도 큰 균열을 가져왔습니다. 일본군은 더 이상 조선에 주둔할 명분과 동력을 잃게 되었고, 철수를 준비하게 됩니다.⚔️ 철수를 둘러싼 갈등: 진린과 이순신의 다른 판단일본군..

노량해전은 임진왜란의 마지막을 장식한 대규모 해전이자, 이순신 장군이 장렬하게 전사한 전투입니다. 단순한 승리가 아닌, 조선을 짓밟은 왜군에게 마지막 일격을 가하고자 했던 이순신 장군의 비장한 의지가 담긴 전투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노량해전의 배경부터 전개, 그리고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순간까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노량해전의 배경: 조선을 위한 마지막 결전1592년 임진왜란 발발 이후 조선은 큰 피해를 입었고, 수많은 전투가 이어졌습니다. 명나라의 원군 지원으로 위기를 넘기는 듯했지만, 1597년 정유재란으로 다시 대규모 침공이 시작되며 조선은 또다시 흔들리게 됩니다. 이때 이순신 장군은 명량해전에서 단 12척의 배로 적 수백 척을 무찌르며 조선 수군을 재건시켰고, 일본군은 결국 도요토..

조선의 제15대 왕인 광해군(1575~1641, 재위 1608~1623)은 한국사에서 논쟁이 끊이지 않는 인물입니다. 그는 전란 후 혼란스러운 시기에 왕이 되어 국가의 안정을 도모했으나, 그의 강력한 권력 강화 정책과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결국 폐위의 길을 걸었습니다. 광해군의 주요 사건과 업적, 그리고 그의 공과를 통해 그가 한국 역사에 남긴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1. 광해군의 즉위와 시대적 배경광해군은 선조의 둘째 아들이자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혼란 속에서 분조(分朝)를 이끌며 세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임진왜란 중 전란 수습과 백성 보호를 위해 노력하며 정치적 역량을 키웠고, 선조의 후계 구도에서 인목대비(仁穆大妃)와의 갈등 끝에 왕위에 올랐습니다.주요 시대적 배경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이후 국가..

고려는 한반도에서 독립적으로 통일을 이루고 500년 동안 강력한 외교력과 군사력으로 국제 정세에 대처한 국가입니다. 이 글에서는 태조 왕건의 건국부터 조선 건국까지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1. 태조 왕건의 건국과 고려 초기의 안정화태조 왕건은 혼란스러운 후삼국 시대를 종식시키고 고려를 건국했습니다. 그는 고구려의 후예라는 정체성을 바탕으로 발해 유민과 후백제, 신라 사람들을 포용하는 민족 통합 정책을 펼쳤습니다. 특히 왕건은 호족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해 대규모 혼인 정책과 호족 포섭 정책을 펼치며 중앙집권을 강화했습니다. 태조는 사망 전 '훈요 10조'를 남겨 후계자들에게 통치 원칙을 전수했습니다. 하지만 왕건 사후 혜종과 정종은 왕권 불안 속에서 단명하며 고려는 위기를 겪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