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주거권 (5)
살림과 일상
"LH 땅장사 이제 끝나야 한다" – 이재명 대통령 발언의 역사적 의미“LH가 택지를 조성해 민간에 매각하는 구조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2025년 6월,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직접 언급한 이 말은 한국 부동산 정책사에서 보기 드문 통찰이자 전환점을 예고하는 발언입니다. 건물보다 ‘땅’이 문제라는 본질을 짚은 이 대통령의 문제의식은 부동산 체제 전환의 서막이 될 수 있습니다.LH 구조의 딜레마LH는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면서도, 토지를 민간에 팔아 이익을 남기는 구조로 운영됩니다. 이익은 공공임대 적자를 메우는 데 쓰이지만, 이 과정에서 LH는 땅값·집값 상승을 오히려 반길 수밖에 없는 딜레마에 빠져 있습니다.실제로 LH의 영업이익은 부동산 가격 상승과 궤를 같이하며, 이는 공기업임에도 불구하고 ..

“성도의 자선”을 넘어 “시민의 권리”로— 김혜령 교수와 함께하는 ‘주거권 · 희년교육 세미나’ 미리 보기 — -->“헌금도, 자선도 열심인데 왜 여전히 집이 절망일까?” 이 물음에서 출발한 이번 ‘주거권 희년교육 세미나’는 희년 · 토지정의 · 주거권이라는 세 단어를 한 자리에서 풀어낸다. 강연자는 이화여대 호크마교양대학 김혜령 교수. 기독교 윤리학자로서 그는 “사랑(나눔)보다 먼저 정의(나누기)를 배우지 못하면, 교회의 선행은 금세 위선으로 보인다”고 말한다.1. “나눔” 이전에 “나누기”가 있다김 교수의 대표 저서《기독 시민교양을 위한 나눔윤리학》(2022)는 ‘나눔’이라는 참된 덕목이 어떻게 사회정의와 얽혀야 하는지 짚는다. 그는 한국교회가 한때 자선으로 칭송받았으나, 국가 복지체계가 자리 잡은..

한국 사회는 경제적 불평등과 생태 환경 위기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시대에 한국 교회는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하며, 이를 위한 성경적 가르침이 바로 ‘희년’입니다. 희년은 단순히 고대 이스라엘의 제도에 국한되지 않고, 현대 사회에 적용할 중요한 원칙을 담고 있습니다.희년의 의미와 핵심 정신‘희년’의 히브리어 원어인 ‘요벨’은 ‘숫양의 뿔 나팔’을 의미하며, 제50년을 뜻합니다. 희년의 핵심 정신은 자유와 해방이며, 가난한 자들이 잃었던 토지, 집, 가족, 자유를 회복하는 해방의 시간이었습니다. 이는 인간의 존엄성과 공평한 삶의 질서를 회복하는 강력한 제도였습니다.희년의 주요 규정희년에는 다음 다섯 가지 회복이 이루어졌습니다.토지 회복: 가난 때문에 토지를 잃은 사람에게 그 땅을 돌려주었습니다.주택 ..

"집은 선택일까, 필수일까?"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주거 문제는 단순히 선택의 영역을 넘어서, 생존의 문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세 사기 피해로 고통받는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주거권이 단순한 소비재가 아니라 인간의 존엄과 생존을 지키는 기본권임을 다시금 되새겨야 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할 하나의 중요한 열쇠는 성경의 희년 정신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희년은 단순한 과거의 제도가 아닌, 오늘날 주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원칙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럼, 희년 정신이 오늘날 주거권 문제에 어떤 통찰을 제공하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희년 정신희년 정신은 성경의 레위기 25장에 기초한 개념으로, 안식일, 안식년, 희년을 통해 구현됩니다. 안식일은 일주일에 한 번 휴식을 취하며 하나님과의 관계를..

2024년 희년실천주일 연합예배는 전세사기 피해자들과 함께 정의로운 주거권을 위한 중요한 메시지를 던졌습니다.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이 전세사기와 깡통전세로 인해 주거 불안을 겪고 있으며, 이들은 사회적 무관심 속에 방치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희년함께는 이러한 불의를 바로잡기 위해 성경의 희년정신을 바탕으로 전세사기 피해자를 돕고, 정의로운 주거권을 실현하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왜 주거권이 중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희년은행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앞으로 한국 사회에서 더 큰 변화를 이끌어낼 전망입니다. 희년함께는 성경에서 명시된 희년정신을 현대 사회에서 실천하고자 합니다. 특히 전세사기 피해자들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 활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