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과 일상
2025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대출 규제와 공급 정책의 전환점 본문
2025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대출 규제와 공급 정책의 전환점
2025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은 중대한 전환점을 맞고 있습니다. 올해 초 대출 완화로 촉발된 시장 과열은 이제 정부의 강력한 규제로 반전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특히 추석을 기점으로 국민 인식 자체가 바뀔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대출 완화가 불러온 과열
2025년 1월, 금융당국은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게 LTV 80%를 허용했습니다. 이는 10억 원짜리 아파트를 2억 원만 있어도 살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고, 전세를 끼고 주택을 사는 ‘무자본 갭투자’가 다시 유행했습니다.
이로 인해 수요가 급증하고 집값은 단기간에 급등했습니다.
이재명 정부의 첫 부동산 규제: 강력한 대출 차단
정부는 6월 27일, 대출 차단 중심의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유주택자의 추가 주택 구입에 대해 대출을 0%로 제한했고, 전 금융권이 동시에 시행해 실효성을 높였습니다.
서울 강남 4구의 거래량은 급감했고, 매물은 다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호가 인하에도 불구하고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세 시장에도 변화: 신축 전세 대출 금지의 파장
신축 아파트에서 소유권 이전 전까지는 전세 대출이 불가능해지면서 전세 수요가 줄고 가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입주 물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매매가와 전세가가 동시에 떨어지고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을 움직일 변수: 전세 안정과 공급 대책
상생임대인 제도의 연장과 스트레스 DSR의 시행으로 전세와 매수 시장 모두 안정세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3기 신도시와 유휴부지 개발, 용산 정비창 등 대규모 공급이 가시화되면서 수요 심리도 빠르게 식고 있습니다.
시장 인식의 전환점: “서울 집값은 비정상”
하반기 시장은 매수자 우위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추석 무렵에는 "서울 집값은 대출로 부풀려진 비정상"이라는 인식이 확산될 전망입니다. 정부의 정책이 실효성과 공정성을 갖춘 만큼 시장은 이를 수용하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요약
- 대출 규제와 전세 제한으로 매수 심리 위축
- 거래량 급감, 호가 하락, 전세가 하락
- 3기 신도시 및 유휴지 개발로 공급 확대 가능성
- 매수자 우위의 시장 구조로 전환 중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H 땅장사 이제 끝나야 한다" – 이재명 대통령 발언의 역사적 의미 (1) | 2025.07.11 |
---|---|
상대평가 사회에서 밀려난 사람들의 목소리는 어디에 있는가? (3) | 2025.07.02 |
문재인 정부, 왜 부동산 정책에서 실패했나? (1) | 2025.06.30 |
수도권 주택문제 해결, ‘살고 싶은 도시’와 ‘국토 대전환’이 함께 가야 한다 (2) | 2025.06.30 |
재건축은 자산재평가이지, 도심 주택공급이 아니다 (2)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