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비상계엄
- 소년이 온다
- 사림파
- 오블완
- 희년
- 노벨문학상
- 선조
- 부동산과 정치
- 인조
- 문재인 부동산
- 임진왜란
- 이순신
- 치매 예방
- 훈구파
- 불로소득 시대
- 광해군
- 폐비윤씨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한강
- 전강수
- 티스토리챌린지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차별금지법
- 난카이 대지진
- KF-21
- 2025년 예언
- 민본
- 희년실천
- 치매
- 연산군
- Today
- Total
살림과 일상
구약에서 부활을 읽는다는 것: 김근주·전성민 대담 리뷰 본문
구약에서 부활을 읽는다는 것: 김근주·전성민 대담 리뷰
부활 신앙은 기독교의 핵심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부활 신앙은 대부분 신약 성경에 기반한 것이며, 구약에서는 그 흔적을 찾기 어렵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구약학자 김근주, 전성민 두 교수는 ‘구약으로 읽는 부활 신앙’을 주제로 심도 깊은 대담을 나눴습니다.
📖 대담의 배경: 구약으로 ‘부활’을 묻다
이번 대담은 ‘김근주 읽기 모임’의 세 번째 책거리 행사로 진행되었습니다. 강경희 집사님의 주도로 결성된 이 모임은 김근주 교수의 책을 함께 읽고 그 사상과 신앙을 공유하는 장입니다.
“구약에 부활이 명확히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이 주제를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 김근주 교수
🔄 구약과 신약, 단절인가 연속인가?
신약은 몸의 부활을 명확히 선언하지만, 구약은 죽음을 종결로 보는 인식이 강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신뢰’는 구약의 인물들을 지탱한 중심 신앙이었습니다.
예수와 바울이 사용한 성경은 모두 구약이었습니다. 부활을 말할 때, 그 기반은 구약에 뿌리박고 있음을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
🕊 구약이 말하는 부활 신앙의 요체
구약에서 부활은 내세 신앙이 아닌, 현실의 고난을 하나님 신뢰로 견디는 믿음으로 나타납니다. 시편, 예레미야, 욕기 등의 인물들은 내세보다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고난을 이겨냅니다.
🤝 신약의 부활 신앙과의 연결
신약은 부활을 통해 새로운 존재로의 삶을 말합니다. 그러나 그 믿음의 씨앗은 구약에서 이미 자라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믿고 오늘을 살아낸 믿음은, 신약의 부활 고백과 깊이 연결됩니다.
📜 구약의 가치와 예수 그리스도의 의미
구약은 기독교 신앙의 토대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구약의 계시를 완성하고, 그 안에 있는 의미를 구체화합니다. 구약을 던져보고 부딪히며, 예수 그리스도의 의미를 찾아가는 것이 교회로 가는 길입니다.
📚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공존
시대와 문화는 다르지만, 하나님은 한 분이십니다. 구약과 신약은 역사적 불연속성 속에서도,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에서는 완전한 연속성을 지닙니다.
💡 의인의 고난, 대속과 부활 신앙
마카베오서와 이사야 53장은 고난받는 의인의 죽음이 공동체를 위한 희생으로 이어지고, 부활 신앙과 대속 신앙의 연결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현대 사회에서 부활 신앙은 가능한가?
고난이 줄어든 현대에서 부활 신앙은 어떻게 가능할까요? 영생은 시간의 길이가 아니라, 삶의 질입니다. 풍성한 삶, 사랑과 정의의 실천이 바로 부활의 현대적 의미입니다.
한국 교회의 부활 신앙, 어디로 가야 하나?
한국 교회의 부활 신앙은 축소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약자를 향한 연민과 정의에 대한 열망은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그 뿌리를 회복할 때, 교회는 다시 부활을 살아내는 공동체가 될 수 있습니다.
💞 결론: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붙드는 삶
“변하지 않는 진리는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부활은 과거 사건이 아니라 오늘을 살게 하는 힘입니다.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붙들고, 이 땅에서 부활의 삶을 살아내는 것이 신앙인의 길입니다.
부활과 성서 - 김근주 & 전성민 대담 - 김근주 읽기 세 번째 책거리
'성서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약의 죽음관부터 신약의 부활 신앙까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향한 여정 (0) | 2025.04.18 |
---|---|
나봇의 포도원 사건: 탐욕과 정의, 그리고 오늘의 우리 (0) | 2025.04.18 |
신앙생활, 어떻게 해야 고이지 않을까? 김호경 교수 인터뷰로 풀어보는 균형 잡힌 시각 (0) | 2025.04.16 |
예수님은 왜 이 땅에 오셨을까? 희년으로 풀어보는 예수님의 진짜 미션! (1) | 2025.04.15 |
🌿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 낮아짐과 몰입의 영성훈련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