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25년 예언
- 난카이 대지진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치매 예방
- 한강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임진왜란
- 폐비윤씨
- 불로소득 시대
- 훈구파
- 희년
- 이순신
- 전강수
- 사림파
- KF-21
- 연산군
- 민본
- 선조
- 오블완
- 차별금지법
- 치매
- 인조
- 소년이 온다
- 희년실천
- 부동산과 정치
- 문재인 부동산
- 노벨문학상
- 비상계엄
- 광해군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살림과 일상
나봇의 포도원 사건: 탐욕과 정의, 그리고 오늘의 우리 본문
📖 나봇의 포도원 사건: 탐욕과 정의, 그리고 오늘의 우리
“이 땅은 내 조상의 유산입니다.”
나봇의 이 말은 단순한 거절이 아닌, 하나님의 율법에 대한 신실한 순종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신념은 아합 왕과 이세벨의 탐욕 앞에서 짓밟히고 말았습니다. 『열왕기상 21장』에 기록된 나봇의 포도원 사건은 권력과 정의, 탐욕과 신앙의 충돌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이야기입니다. 이 고대의 이야기는 오늘날 우리 사회에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요?
1. 사건의 배경: 포도원과 채소밭의 상징
이스르엘에 위치한 아합 왕의 겨울 궁궐 근처, 나봇은 조상에게 물려받은 포도원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아합은 이 땅을 채소밭으로 바꾸고자 했습니다. 채소밭은 이집트 농경의 상징이자 인간의 노력으로 관리되는 땅입니다. 반면, 포도원은 성경에서 하나님이 돌보시는 은혜의 상징입니다.
나봇은 “이 땅은 내 조상의 유산”이라며 단호히 거절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맡기신 신탁이기 때문입니다 (레위기 25:23).
2. 권력의 탐욕과 법의 왜곡
아합은 나봇의 거절에 분노하며 침울해졌고, 그의 아내 이세벨은 이를 권력으로 해결하려 했습니다. 이세벨은 장로들을 매수해 나봇을 모함하고 결국 돌에 맞아 죽게 만듭니다. 이것은 합법을 가장한 불법이었습니다.
율법은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주어진 하나님의 법입니다. 그러나 권력자들은 이를 자신들의 탐욕을 정당화하는 도구로 삼았습니다.
3. 엘리야의 등장과 하나님의 심판
예언자 엘리야는 아합과 이세벨에게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합니다. 그들은 탐욕, 거짓 증언, 살인을 저질렀습니다. 엘리야는 “개들이 나봇의 피를 핥은 곳에서 네 피도 핥을 것이다”라고 말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공의가 결코 땅에 떨어지지 않음을 상기시키는 메시지입니다.
4. 다윗과 밧세바 사건과의 비교
다윗 역시 밧세바를 범하고 우리아를 죽이는 죄를 저질렀습니다. 아합처럼 탐욕과 권력을 남용했지만, 진심 어린 회개가 있었기에 그의 왕조는 유지됩니다. 그러나 고통과 징계는 피하지 못했습니다.
5.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나봇의 포도원 사건은 단지 과거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오늘날 부동산 투기, 전세사기, 철거민 문제는 현대판 나봇의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정의와 불의 중 어느 편에 설 것인가를 고민해야 합니다. 엘리야처럼 말하고, 나봇처럼 믿음으로 지키는 것, 그것이 신앙인의 길입니다.
6. 기독시민과 교회의 역할
한국 교회는 억울한 이들의 곁에 서야 합니다. 희년의 정신은 잃어버린 정의를 회복하라는 하나님의 부르심입니다. 나봇의 피는 오늘도 땅에서 외치고 있습니다. 당신은 그 외침에 어떻게 응답하시겠습니까?
우리는 나봇과 엘리야의 편에 설 것인가, 아니면 아합과 이세벨의 탐욕을 방관할 것인가?
'성서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약에서 부활을 읽는다는 것: 김근주·전성민 대담 리뷰 (1) | 2025.04.19 |
---|---|
구약의 죽음관부터 신약의 부활 신앙까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향한 여정 (0) | 2025.04.18 |
신앙생활, 어떻게 해야 고이지 않을까? 김호경 교수 인터뷰로 풀어보는 균형 잡힌 시각 (0) | 2025.04.16 |
예수님은 왜 이 땅에 오셨을까? 희년으로 풀어보는 예수님의 진짜 미션! (1) | 2025.04.15 |
🌿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 낮아짐과 몰입의 영성훈련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