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치매 예방
- 일본 대지진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차별금지법
- 한명회
- 부동산과 정치
- 희년
- 치매
- 한강
- 선조
- 민본
- KF-21
- 노벨문학상
- 갑자사화
- 을사사화
- 불로소득 시대
- 소년이 온다
- 연산군
- 훈구파
- 임진왜란
- 전강수
- 오블완
- 문재인 부동산
- 난카이 대지진
- 비상계엄
- 사림파
- 이순신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폐비윤씨
- 티스토리챌린지
Archives
- Today
- Total
살림과 일상
박정훈 교수의 10분 경제 본문
반응형
박정훈 교수의 10분 경제
“다수결은 옳은가? 외모도 자본인가? 지역 균형은 어떻게 가능한가?”
외모도 경쟁력? ‘매력 자본’의 경제학
매력은 곧 희소성이다. 경제학자들은 외모의 ‘시장 가치’를 실증 연구로 분석했고, 그 결과는 불편하지만 현실적이다. 성형수술이 단순한 문화가 아닌 생존 전략이 되는 이유, 경제적 편익이 실제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수결의 오류와 민주주의의 착각
민주주의의 표상처럼 여겨지는 다수결. 하지만 그 결과가 항상 정의롭거나 바람직하지 않다. 당론이나 선거인단 제도에서 보듯, 실제 의사와 다른 결과가 나오는 사례는 많다. 경제학은 이 구조를 효율성과 불완전성의 관점에서 들여다본다.
왜 우리는 지역 선거에 무관심할까?
국가는 바꾸기 어렵지만, 동네는 바꿀 수 있다. 이사라는 '발로 하는 투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지역 선거보다는 중앙정치에 더 많은 관심을 둔다. 이는 휴리스틱한 판단이 가져온 효율성과도 연결된다.
지역 균형 발전, 서울 흉내 내기로 될까?
박 교수는 서울의 복사판을 만드는 대신, 완전히 다른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프랑스의 ‘소피아 앙티폴리스’처럼 자연친화적이면서도 고급 기술을 담는 도시가 진정한 해법이 될 수 있다.
“역사는 만들어 가는 것이다. 에펠탑도 처음엔 흉물이었다.”
도전하는 지역만이 살아남는다
지역은 더 이상 배, 사과, 대추만 이야기할 수 없다. 양양의 클럽이 지역을 살린 사례처럼, 다른 가치, 다른 콘텐츠,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 두려움을 넘어 새로운 시도가 필요한 때다.
반응형
'사회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uth Korea is Over? 아직 끝나지 않았다 (0) | 2025.04.13 |
---|---|
14세 예언 소년의 충격 발언: "한국에 대한 오만이 중국을 무너뜨릴 것이다" (0) | 2025.04.13 |
좌우를 넘어 권위주의를 성찰하다 - 박구용 교수와의 대화 (0) | 2025.04.12 |
김정은의 전쟁관과 북한 권력구도의 미래 (2) | 2025.04.11 |
2025년 을사년, 예언이 가리키는 변화와 구원자 (1)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