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한강
- 오블완
- 전강수
- 민본
- 치매
- 소년이 온다
- 선조
- 치매 예방
- 을사사화
- 부동산과 정치
- 폐비윤씨
- 문재인 부동산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이순신
- 임진왜란
- 차별금지법
- 한명회
- KF-21
- 연산군
- 사림파
- 난카이 대지진
- 노벨문학상
- 희년
- 훈구파
- 일본 대지진
- 갑자사화
- 불로소득 시대
- 비상계엄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24)
살림과 일상

한국인은 오랜 역사 속에서 외부의 침략과 억압에 굴복하지 않고 끝까지 저항하며 살아온 민족입니다. 윤명철 교수는 이러한 한국인의 DNA에 새겨진 독특한 정신을 재조명하며,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되새기자고 강조합니다. 특히, 고구려인의 저항 정신과 지리적 이점, 그리고 포기하지 않는 끈기를 통해 우리는 결코 정적이거나 슬픔에 젖은 민족이 아님을 증명합니다.1. 한국인은 왜 ‘정적인 민족’이 아닌가?과거 일제 강점기와 그 이후에도 한국인을 ‘감성적이고 정적인 민족’, ‘슬픔에 잠긴 민족’으로 규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윤명철 교수는 이것이 일본 제국주의가 만들어낸 왜곡된 프레임이라고 지적합니다. 한국인은 실제로 고대부터 활발하고 적극적인 삶을 살아온 민족이었습니다. 침략에 저항하고 새로운 문화를 개척하며..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 노량해전은 단순한 해전이 아니라 조선의 운명과 동아시아의 질서를 뒤흔든 역사적 분수령이었습니다. 이 전투를 이끈 이순신 장군은 마지막 순간까지 국가와 백성을 지키겠다는 사명감으로 싸웠으며, 그의 통찰과 결단력은 오늘날까지 깊은 울림을 줍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 그리고 흔들리는 일본1598년, 일본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면서 일본 내부는 혼란에 빠졌습니다. 히데요시의 아들이 겨우 다섯 살에 불과했던 탓에, 후계 문제를 둘러싼 권력 다툼이 벌어졌고, 이는 일본의 조선 침략 전략에도 큰 균열을 가져왔습니다. 일본군은 더 이상 조선에 주둔할 명분과 동력을 잃게 되었고, 철수를 준비하게 됩니다.⚔️ 철수를 둘러싼 갈등: 진린과 이순신의 다른 판단일본군..

노량해전은 임진왜란의 마지막을 장식한 대규모 해전이자, 이순신 장군이 장렬하게 전사한 전투입니다. 단순한 승리가 아닌, 조선을 짓밟은 왜군에게 마지막 일격을 가하고자 했던 이순신 장군의 비장한 의지가 담긴 전투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노량해전의 배경부터 전개, 그리고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순간까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노량해전의 배경: 조선을 위한 마지막 결전1592년 임진왜란 발발 이후 조선은 큰 피해를 입었고, 수많은 전투가 이어졌습니다. 명나라의 원군 지원으로 위기를 넘기는 듯했지만, 1597년 정유재란으로 다시 대규모 침공이 시작되며 조선은 또다시 흔들리게 됩니다. 이때 이순신 장군은 명량해전에서 단 12척의 배로 적 수백 척을 무찌르며 조선 수군을 재건시켰고, 일본군은 결국 도요토..

우리가 십계명을 떠올릴 때, 제7계 명인 “간음하지 말라”는 종종 단순한 성적 금기로 이해되곤 합니다. 그러나 이 계명은 단지 성적인 윤리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 이면에는 가정의 존엄성, 공동체의 신뢰, 그리고 우상숭배와의 깊은 연관성까지 포괄하는 성경적 계약법의 핵심이 담겨 있습니다. 💡 간음죄, 왜 이토록 심각한가?간음죄는 고대 이스라엘 사회에서 매우 중대한 죄로 간주되었습니다. 신명기 22장에 따르면, 간음한 자는 돌로 쳐 죽이라는 명령을 받을 정도로 엄중히 다뤄졌습니다. 그 이유는 간음이 단순한 개인의 죄가 아니라, 하나님이 세우신 가정을 파괴하고 공동체의 기반을 무너뜨리는 죄였기 때문입니다. 히브리어에서 간음(adultery)은 우상숭배(idolatry)와 같은 단어로 사용될 정도로 간..

우리는 일상 속에서 종종 “쉼”을 잊고 살아갑니다. 과로와 경쟁이 일상이 된 사회에서 참된 쉼, 그리고 인간다움을 회복할 길은 어디에 있을까요? 성경은 이를 위해 특별한 제도들을 우리에게 제시합니다. 바로 안식일, 안식년, 그리고 희년입니다. 이 제도들은 각각 다르게 보이지만, 그 중심에는 하나의 강력한 메시지가 흐릅니다.“자유케 하라!”안식일: 모두를 위한 쉼안식일은 매주 돌아오는 ‘쉼’의 날입니다. 하나님은 단지 종교적인 행사를 위한 날로 안식일을 명령하신 것이 아닙니다. 출애굽기 20장 10절에서 보면, 주인뿐만 아니라 종, 나그네, 가축까지 모두가 쉬도록 명하십니다. 이것은 단지 노동을 멈추는 차원을 넘어, 모든 생명체가 ‘존재 자체로 존중받는 날’을 의미합니다.오늘날 우리는 ‘성과’와 ‘결과’로..

많은 사람들이 50대 이후 새로운 것을 배우기에는 늦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김원곤 교수의 이야기는 그 편견을 완전히 뒤엎습니다. 그는 50세에 외국어 공부를 시작해, 영어 외에도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까지 총 6개 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의 언어 학습 여정과 은퇴 후 어학 연수를 떠나게 된 특별한 계기, 그리고 외국어 공부가 삶에 가져다 준 변화를 자세히 들여다봅니다.💡 50대에 시작된 외국어 학습, 그 특별한 계기김 교수는 50세에 새로운 삶의 활력을 얻기 위해 외국어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당시 그는 직장에서 은퇴한 후 단조로운 생활 속에서 무언가 새로운 자극이 필요하다고 느꼈고, 영어 외에 다른 언어를 배우기로 결심했습니다. 처음 선택한 언어는 일본어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