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과 일상

곧 시작될 대폭락? 위기에 대한 경고와 대비 본문

사회문제

곧 시작될 대폭락? 위기에 대한 경고와 대비

2025지속가능네트워크 2025. 4. 15. 05:50
반응형


곧 시작될 대폭락? 위기에 대한 경고와 대비

경제 상황이 심상치 않다는 이야기, 많이 들어보셨죠? 오늘은 최용식 소장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앞으로 닥칠 경제 위기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함께 알아봐요!

 

지금 경제 상황, 정말 괜찮은 걸까요? 2022년에 이미 시작된 위기?

최용식 소장은 금융 위기가 2022년 상반기에 이미 시작됐다고 말해요. 당시 미국의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건 흔한 일이 아니라는 거죠. 보통 금융 위기가 터져야 경기가 그렇게 빨리 나빠지거든요. 코로나 후유증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최 소장은 과도한 경기 부양 정책 때문이라고 분석했어요.
 
2020년부터 미국 정부는 돈을 많이 풀어서 경기를 살리려고 했어요. 하지만 물가가 너무 오르고 달러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생겼죠. 달러 가치가 떨어지니 투자자들이 미국을 떠나면서 유동성이 줄어들고, 이게 금융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거예요. 마치 우리 몸에서 피가 빠져나가면 위험한 것처럼, 경제에서도 유동성이 줄어들면 큰일 나는 거죠. 2022년은 그런 상황이었다고 최용식 소장은 진단했어요.

 

고금리 강달러 정책, 진짜 괜찮은 걸까요? ,

미국은 2022년에 시작된 금융 위기를 막기 위해 고금리 강달러 정책을 펼쳤어요. 경제 교과서에서는 고금리 정책이 투자를 줄이고 강달러 정책이 수출을 줄여서 경기를 나쁘게 만든다고 배우잖아요? 하지만 미국은 과거에도 이 정책으로 효과를 본 적이 있다고 해요. 1980년대에 금리를 엄청나게 올렸는데, 오히려 달러가 강세가 되면서 외국 자본이 미국으로 몰려와 경기가 살아났다는 거죠.
 
최용식 소장은 이 정책이 일시적인 효과만 있을 뿐이라고 지적했어요. 마치 아픈 곳을 덮어두는 것처럼, 문제를 미뤄두는 것과 같다는 거죠. 2023년 3월에는 미국의 은행들이 파산 위기를 겪으면서 금융 위기가 다시 나타날 뻔했지만, 정부가 예금을 전부 보장해주는 방식으로 막았다고 해요. 하지만 이렇게 억지로 위기를 막으면 나중에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지금 당장은 괜찮아 보이지만, 폭탄 돌리기와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미국 경제 위기,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미국의 고금리 강달러 정책은 다른 나라의 돈을 미국으로 빨아들이는 효과가 있어요. 다른 나라들은 유동성이 부족해지면서 경제 위기를 겪을 수 있죠. 특히 우리나라는 미국에 투자하러 가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해요. 미국 주식 시장의 거품이 너무 크기 때문에, 위기가 터지면 우리나라에도 큰 타격이 올 수 있다는 거죠.
 
최용식 소장은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 유럽,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의 경제 상황도 좋지 않다고 지적했어요. , , 일본은 엔캐리 자금 문제로, 유럽은 저성장 문제로, 중국은 부동산 시장 붕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거죠.  만약 이들 국가 중 한 곳에서 금융 위기가 터지면 다른 나라로 빠르게 번져나갈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정말 걱정되는 상황이죠?

 

위기를 막으면 스태그플레이션이 온다? ,

정부가 계속 돈을 풀어서 위기를 막으면 어떻게 될까요? 최용식 소장은 급성 질환이 만성 질환으로 바뀌는 것처럼,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고 경고해요.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경기는 침체되는 현상을 말하죠. 1970년대에 미국이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돈을 계속 풀었더니, 결국 스태그플레이션이 왔다는 거예요.
 
스태그플레이션은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장기화되는 경향이 있어요. 마치 흐르는 물에 돌멩이를 던지면 물살이 약해지는 것처럼, 돈을 너무 많이 풀면 경제가 제대로 순환하지 못하게 된다는 게 최용식 소장의 설명이에요. 위기가 닥치면 원인을 제거해서 수술을 해야 경제가 건강해지는데, 돈으로 억지로 막으면 오히려 병이 더 깊어질 수 있다는 거죠.

 

위기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현금 확보가 중요! ,

그렇다면 앞으로 닥칠지도 모르는 경제 위기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최용식 소장은 현금 보유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해요. 위기가 오면 주식 시장이 폭락하는데, 이때 현금이 있으면 싸게 주식을 살 수 있는 기회가 온다는 거죠. , 워렌 버핏처럼 손실을 보지 않는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어요.
 
최용식 소장은 금 투자는 위험하다고 경고해요. 금은 안전 자산으로 알려져 있지만, 가격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투자해야 한다는 거죠. , 1980년대와 2008년 금융 위기 때 금 가격이 폭락한 사례를 예로 들면서, 금 가격이 많이 오르면 오히려 더 위험하다고 설명했어요. ,

 

한국 경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환율 정책의 중요성 , ,

최용식 소장은 한국 경제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말해요. 특히 환율 정책이 중요한데, 환율이 떨어지면 외국 자본이 우리나라로 몰려와 유동성이 풍부해지고, 이것이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거죠. 다른 나라들이 어려움을 겪을 때 우리나라는 오히려 경제 호황을 누릴 수도 있다고 해요.
 
정부가 환율이 떨어지는 것을 용납하는 정책을 펼치면 수출도 증가하고 경기도 좋아지고 금융 위기도 큰 타격 없이 극복할 수 있다는 게 최용식 소장의 주장이에요. 경제학자들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과거 우리나라가 환율 하락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룬 경험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어요. , 쉽지는 않겠지만,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겠죠?

 

보호무역주의, 정말 답일까요? 

최용식 소장은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어요. 과거 닉슨 대통령이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펼쳤다가 실패한 사례를 언급하면서, 트럼프의 정책도 비슷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보호무역주의가 오히려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거죠.
 
특히 지금처럼 금융 위기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강화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지적했어요. , 1930년대 대공황 때도 미국이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펼쳤다가 세계 경제가 더 악화되었던 사례를 언급하면서, 트럼프의 정책이 금융 위기의 트리거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어요. 보호무역주의가 능사가 아니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죠.
 
이렇게 최용식 소장의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닥칠 경제 위기에 대해 알아봤어요. 위기에 잘 대비해서 슬기롭게 헤쳐나가도록 노력해야겠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