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출산율 (3)
살림과 일상

한국 경제, ‘저성장 터널’에서 길을 잃다대한민국은 전쟁의 폐허를 딛고 1인당 GDP 3만 달러 시대를 열었습니다. 그러나 IMF 외환위기(1997) 이후 성장 궤적은 완만한 하강 곡선입니다. 1990년대 초 8 %에 육박했던 성장률은 2000년대 4 %, 2010년대 2 %로 추락했고, 2024년 잠정치 1.3 %는 저성장 고착화를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습니다. 문제는 숫자가 아니라 심리입니다. 고속 성장을 ‘정상’으로 기억하는 사회에서 2 % 성장은 실패로 여겨지고, 불안은 투자·소비·출산을 모두 압박합니다.1. 저성장의 뿌리 — 잘못 이식된 ‘일본식 모델’1) 간접금융에 갇힌 자본1930~40년대 일본 전시 총동원 체제에서 비롯된 ‘은행 대출 → 중후장대 제조업 → 정부 통제’ 사다리를 한국은 그대로..

“한국은 끝났다?” 독일 유튜브 채널의 경고와 그에 대한 반론최근 유튜브에 올라온 한 영상이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독일의 대형 유튜브 채널 크루츠 게작트(Kurzgesagt)가 공개한 영상 “South Korea is Doomed (한국은 끝났다)”가 그 주인공입니다. 2,400만 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이 채널은 세계적인 과학·사회 콘텐츠 채널로, 이번 영상에서는 한국의 인구 감소, 경제 붕괴, 사회적 불안정성을 주제로 경고를 보냈습니다.인구 감소: 위기의 뿌리1950년대 한국은 평균 가정당 6명의 자녀를 두었습니다. 그러나 1980년대에는 2명, 2023년에는 0.72명까지 하락했으며, 서울의 출산율은 0.5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입니다.인구 감소는 단순한 수치의 변화가 아니라 노동..

South Korea is Over? 아직 끝나지 않았다쿠르츠게작트 영상 분석과 한국 사회의 미래 시나리오📉 0.72의 의미: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출산율세계 최저 출산율, 0.72. 쿠르츠게작트는 이 숫자를 단순한 수치가 아닌 세대 단위 붕괴의 시작으로 봅니다. 3세대 후 인구는 약 13% 수준, 되돌릴 수 없는 지점으로 진입한다고 경고합니다.🧓 2060년의 한국: 노인이 절반이 되는 사회2060년, 한국의 평균 연령은 61세,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절반에 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젊은 인구는 10%도 되지 않고, 5세 이하 인구는 전체의 1%에 불과합니다.💸 경제적 충격: 영구적인 침체?“Eventually: Economic Collapse.”생산가능인구의 급감, 세수 감소, 연금 고갈,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