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폐비윤씨
- 불로소득 시대
- 한명회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훈구파
- 갑자사화
- 문재인 부동산
- 비상계엄
- 한강
- 희년
- 전강수
- 차별금지법
- 티스토리챌린지
- 선조
- 치매
- 연산군
- 오블완
- 노벨문학상
- 소년이 온다
- KF-21
- 을사사화
- 민본
- 이순신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임진왜란
- 일본 대지진
- 부동산과 정치
- 치매 예방
- 사림파
- 난카이 대지진
- Today
- Total
목록2025/04 (65)
살림과 일상

기후변화와 식량 위기,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겨울이 짧아지고 있다는 것은 단지 계절의 변화가 아니라, 전 지구적인 기후 패턴의 대격변을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의 먹거리, 생태계, 나아가 생존 문제와 직결된 이슈입니다.1. 기후 플레이션과 식량 가격 폭등지중해 연안 국가의 올리브 생산량 급감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올리브유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기후 변화는 특정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위기입니다.2. 식단 다양화와 식량 자립의 가능성우리는 식문화를 재구성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다양한 작물을 경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단을 재구성한다면 기후위기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3. 병충해와 생태계의 변화겨울이 짧아질수록 병충해의 위협은 커집니다. 특히 열대 지역 ..

광해군, 다시 보는 왕의 이름패륜의 군주에서 실용의 리더로 재조명되다 1. 폐허에서 다시 세운 궁궐, 창덕궁 중건임진왜란으로 경복궁과 창덕궁이 소실된 뒤, 광해군은 왕실의 상징을 되살리고자 창덕궁을 중건했습니다. 이는 조선 후기 왕실의 중심이 되는 기반이 되었고, 혼란 속에서 조선을 재건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행보였습니다.2. 양전사업과 대동법, 개혁의 신호탄토지 측량과 조세 제도 개혁은 국가 재정 기반을 다시 세우기 위한 실질적 개혁이었습니다. 특히 대동법은 조선 백성들의 고통을 줄이고, 공정한 세금 체계를 만든 혁신적인 정책이었습니다.3. 중립 외교, 시대를 앞서다명과 후금 사이에서 실리를 선택한 광해군의 중립 외교는 오늘날의 균형 외교와도 유사합니다. 비록 당시 유학자들의 기준으로는 배신으로 보였지..

소현세자의 의문사와 효종의 북벌, 그 피로 이어진 조선의 비극1623년 인조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굴복한 왕으로서의 권위는 심각하게 훼손되었고, 이는 조선 왕실 내부에 피로 얼룩진 비극을 초래하게 됩니다.핏빛 죽음, 세자의 의문사1645년, 소현세자가 청에서 인질 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지 단 두 달 만에 사망합니다. 눈·코·입·귀에서 피가 흘렀고, 시신은 검게 변해 있었습니다. 백성들은 중독사라 의심했지만 인조는 철저히 묵살합니다. 침을 놓은 어의 이형익조차 처벌하지 않았습니다.청나라와의 긴장, 인조의 두려움청나라가 소현세자에게 황제의 의복인 '대홍망룡의'를 선물하자, 인조는 자신을 대신해 아들이 왕이 될 것이라는 불안에 휩싸입니다. 그 불안은 결국 아들에 대한 적대감으로 번..

굴욕의 왕 인조와 조선의 위기: 반정에서 병자호란까지▲ 삼전도에서 청태종 앞에 무릎 꿇은 인조 (상징 이미지)1623년, 능양군이 광해군을 폐위하고 조선의 16대 왕 인조로 즉위합니다. 이를 ‘인조반정’이라 부르며, 명분은 광해군의 불효와 친후금 정책이었습니다. 반정 이후 조선의 외교는 급변하게 됩니다.실리를 추구한 광해군, 명분을 앞세운 인조광해군은 명과 후금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중립외교를 펼쳤지만, 인조는 명나라와만 가까이 하며 후금을 배척했습니다. 이는 곧 전쟁으로 이어집니다.정묘호란: 후금의 첫 침공1627년, 후금이 조선을 침공하며 정묘호란이 발발합니다. 인조는 강화도로 피신했고, 조선은 형제국을 맺는 굴욕적 화의를 체결하게 됩니다.병자호란: 남한산성의 고립과 항복1636년, 후금이 청으로 국..

South Korea is Over? 아직 끝나지 않았다쿠르츠게작트 영상 분석과 한국 사회의 미래 시나리오📉 0.72의 의미: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출산율세계 최저 출산율, 0.72. 쿠르츠게작트는 이 숫자를 단순한 수치가 아닌 세대 단위 붕괴의 시작으로 봅니다. 3세대 후 인구는 약 13% 수준, 되돌릴 수 없는 지점으로 진입한다고 경고합니다.🧓 2060년의 한국: 노인이 절반이 되는 사회2060년, 한국의 평균 연령은 61세,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절반에 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젊은 인구는 10%도 되지 않고, 5세 이하 인구는 전체의 1%에 불과합니다.💸 경제적 충격: 영구적인 침체?“Eventually: Economic Collapse.”생산가능인구의 급감, 세수 감소, 연금 고갈, 증..
14세 예언 소년의 충격 발언: "한국에 대한 오만이 중국을 무너뜨릴 것이다" 2025년 초, 중국 전역을 뒤흔든 사건이 있었습니다. 광동성 대홍수와 티베트 대지진을 정확히 예언한 14세 소년 리우 밍천의 존재가 알려지며, 사회는 충격과 혼란에 빠졌습니다. 그는 단순히 재난을 예고한 것이 아니라, 그 원인을 중국의 한국에 대한 오만한 태도로 돌렸습니다.광동성에서 시작된 재앙, 그리고 깨닫지 못한 경고국무원 차관 첸 위린은 광동성 홍수 현장을 지휘하며 수많은 참상을 목격했습니다. 그곳에서 만난 한 노인의 말이 그를 사로잡았습니다.“이건 하늘이 내린 벌이요. 우리가 자연과 이웃을 무시한 대가요.”하지만 정부는 이를 ‘미신’이라 일축했고, 이어 발생한 티베트 지진마저 정부의 대응은 늦고 불완전했습니다.리우 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