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과 일상

율곡 이이의 경세론과 실학적 사유: 조선 후기 실학의 선구자 본문

역사이야기

율곡 이이의 경세론과 실학적 사유: 조선 후기 실학의 선구자

2025지속가능네트워크 2025. 2. 1. 16:53
반응형

율곡 이이의 사상적 위상

 

율곡 이이
율곡 이이

율곡 이이(1536~1584)는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성리학자이자 경세가로, 퇴계 이황과 함께 한국 사상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입니다. 그의 철학적 입장은 '이기지묘(理氣之妙)'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이(理)와 기(氣)를 상호 보완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양자의 상호 의존적 관계를 철저히 고수하는 사상입니다. 율곡은 의리(義理)와 실리(實利)를 아울러 추구하며, 윤리와 경제의 조화를 이상으로 삼았습니다. 그의 학문은 성리학이면서도 실학의 체계를 함께 지니고 있으며, 그의 삶 또한 철학자와 경세가로서의 삶을 병행했습니다.

율곡의 실학적 위치와 사유 특성

1. 율곡의 실학적 위치

율곡은 조선 후기 실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습니다. 그의 실학적 사유는 정암 조광조의 개혁사상과 반계 유형원의 실학사상과의 비교를 통해 그 특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율곡은 실학의 출발점으로서, 이후 조선 후기 실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그의 경세론은 실학적 사유의 핵심을 이루며, 정치, 경제,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현대에도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2. 율곡 경세론의 실학적 사유 특성

율곡의 경세론은 '무실론(務實論)'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그는 실심(實心)을 통해 실덕(實德)을 갖추고, 실공(實功)을 통해 실효(實效)와 실리(實利)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무실론은 그의 시무론(時務論)과 경장론(更張論)에 구체적으로 나타납니다. 율곡은 현실 상황과 시대 인식에 투철하여, 역사의 동인을 인간의 의지와 노력에 두고 시대의 변혁을 주도하려는 열의를 보였습니다.

3. 정암 조광조와의 비교

정암 조광조는 율곡 이전의 개혁가로, 그의 개혁사상은 율곡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율곡은 정암의 급진적이고 이상주의적인 개혁정치와는 달리, 점진적이고 현실적인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율곡은 정암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책을 제시하며, 각 분야에 걸쳐 대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4. 반계 유형원과의 비교

반계 유형원은 조선 후기 실학의 비조로 평가받는 인물입니다. 그의 개혁사상은 율곡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특히 율곡의 '동호문답'과 '만언봉사'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반계는 율곡의 실학적 정신을 구체적인 제도에 담아냈으며, 그의 개혁안은 체계적이고 통일적이었습니다. 율곡의 실학적 사유는 반계를 통해 더욱 구체화되었으며, 조선 후기 실학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했습니다.

율곡 경세론의 철학적 기초

1. 이기지묘(理氣之妙)

율곡의 철학적 기초는 '이기지묘'에 있습니다. 이는 이(理)와 기(氣)가 시간적으로 선후가 없고 공간적으로 분리되지 않으며, 하나로 조화를 이루는 존재 구조를 의미합니다. 또한, 이의 가치와 기의 가치가 상보적으로 이해되는 차원을 포함합니다.

2. 의리와 실리의 상합성

율곡은 유가 철학의 전통을 계승하여, 경제와 윤리, 의리와 실리의 조화를 추구했습니다. 그는 의리와 실리를 상합적으로 이해하며, 이를 시중지도(時中之道)에 연관시켜 논리를 전개했습니다.

3. 성(誠)과 무실론(務實論)

율곡은 성(誠)을 천도(天道)와 인도(人道)의 양면에서 설명하며, 성은 천의 실리(實理)요 마음의 본체(本體)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실리와 실심을 바탕으로 무실론을 전개하며, 실천을 중시했습니다. 율곡에게서 실천이 수반되지 않는 학문과 지식은 의미가 없었습니다.

결론: 율곡의 실학적 위상과 현대적 의미

율곡 이이는 실학의 선구자일 뿐만 아니라, 전기 실학과에 속하는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그의 경세론은 탄탄한 철학적 기초 위에 현실적 체험과 투철한 역사의식에 따라 나온 것입니다. 특히 그의 국시론(國是論), 언로개방사상(言路開放思想), 서열(庶孽)의 사로허통(仕路許通)과 면천(免賤), 변법정신(變法精神) 등은 근대지향의식을 보여줍니다.

율곡의 경세론은 조선 후기 경세치용 실학을 대표하는 반계 유형원과 성호 이익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실학적 사유방식은 과거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정치, 경제, 교육, 문화, 사회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우리에게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율곡의 실학적 위상과 그의 경세론에 드러난 실학적 사유구조의 특징을 재정립하는 것은 현대 사회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참고문헌

  • 『율곡전서』
  • 『정암집』
  • 김용덕, 『조선후기사상사연구』, 을유문화사, 1977.
  • 박종홍, 『한국사상사논고 : 유학편』, 서문당, 1977.
  • 유승국, 『한국의 유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0.
  • 윤사순, 『한국유학논구』, 현암사, 1980.
  • 율곡학회(편), 『율곡학연구총서』, 율곡학회, 2007.
  • 이동인, 『율곡의 사회개혁사상』, 백산서당, 2005.
  • 이진표, 『한국사상사 : 유가경세사상편』, 학문사, 2002.
  • 천관우, 『근세조선사연구』, 일조각, 1979.
  • 황의동, 『한국의 유학사상』, 서광사, 199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