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선조
- 사림파
- 국민연금
- 집중력
- 훈구파
- 차별금지법
- 비상계엄
- 난카이 대지진
- 부동산과 정치
- 한강
- 치매 예방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노벨문학상
- 티스토리챌린지
- 크리스마스
- 전강수
- 갑자사화
- 폐비윤씨
- 임진왜란
- 한명회
- 을사사화
- 김수현
- 채식주의자
- 민본
- 연산군
- 불로소득 시대
- 치매
- 소년이 온다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오블완
- Today
- Total
목록왕토사상 (2)
살림과 일상

고조선에서 시작된 한반도의 농경 문화고조선은 한반도에서 벼농사를 처음 시작한 나라로 기록됩니다. 당시 농민들은 돌칼을 이용해 곡식을 수확하며 살아갔고, 이러한 농경 문화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반도 농민들의 농경 유전자는 마늘과 쑥을 먹으며 버틴 단군 신화처럼 질긴 생명력을 자랑합니다.왕토사상의 탄생: 모든 땅은 왕의 것고대 왕토사상(王土思想)은 "하늘 아래 왕의 땅 아닌 곳이 없고, 왕의 신하 아닌 사람도 없다"는 시경(詩經)의 구절로 대표됩니다. 이 사상은 삼국시대 식읍(食邑)과 녹읍(祿邑) 제도로 구체화되었고, 땅의 소유와 세금을 거두는 권리(수조권)를 통해 왕의 지배 체제가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신라의 불교적 이상사회에서도 왕토사상은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왕의 땅이 모두의 ..

한국 역사의 전환점 중 하나로 꼽히는 고려에서 조선 초기에 걸친 토지 제도는 공전(公田)과 사전(私田)의 개념과 운영 방식에서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왕토사상(王土思想)을 중심으로 공전과 사전의 개념 변화와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봅니다. 공전과 사전: 개념과 변화1. 공전과 사전의 초기 구조고려 초기에는 토지가 직역(직업)과 연계되어 공에서 사로, 사에서 공으로 순환되는 체계였습니다.직역자는 국가로부터 토지를 지급받아 사용하는 대신, 직역 기간이 끝나면 토지를 반환해야 했습니다.2. 고려 후기: 균열의 시작12세기 이후 인구 증가와 토지 부족 문제가 발생하며 공과 사의 연계성이 약화되었습니다.토지의 사유화가 확대되면서 공전과 사전의 개념이 점차 분리되었습니다.3. 조선 초: 과전법의 도입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