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과전법 (2)
살림과 일상

한국 역사의 전환점 중 하나로 꼽히는 고려에서 조선 초기에 걸친 토지 제도는 공전(公田)과 사전(私田)의 개념과 운영 방식에서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왕토사상(王土思想)을 중심으로 공전과 사전의 개념 변화와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봅니다. 공전과 사전: 개념과 변화1. 공전과 사전의 초기 구조고려 초기에는 토지가 직역(직업)과 연계되어 공에서 사로, 사에서 공으로 순환되는 체계였습니다.직역자는 국가로부터 토지를 지급받아 사용하는 대신, 직역 기간이 끝나면 토지를 반환해야 했습니다.2. 고려 후기: 균열의 시작12세기 이후 인구 증가와 토지 부족 문제가 발생하며 공과 사의 연계성이 약화되었습니다.토지의 사유화가 확대되면서 공전과 사전의 개념이 점차 분리되었습니다.3. 조선 초: 과전법의 도입13..

고려 말 조선 초 토지제도 개혁과 사회 변화고려 말에서 조선 초로 이어지는 시기는 한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특히, 토지제도 개혁은 조선 건국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사회와 경제 구조가 크게 변화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토지제도 개혁의 배경과 과정, 역사적 의의, 그리고 그로 인한 사회 변화를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1. 고려 말 조선 초 토지제도 개혁의 중요성1388년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 세력이 권력을 잡으면서 가장 먼저 추진한 정책은 토지제도 개혁이었습니다. 조준과 이행 같은 개혁가들의 주도로 사전(私田) 혁파가 논의되었고, 약 3년간의 토론 끝에 1391년 과전법이 제정되었습니다. 과전법은 고려 말 토지제도를 재정비하며 농업과 토지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