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문재인 부동산
- 2025년 예언
- 전강수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비상계엄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노벨문학상
- 불로소득 시대
- 훈구파
- 부동산과 정치
- 난카이 대지진
- 이순신
- 한강
- 일본 대지진
- 선조
- 소년이 온다
- 사림파
- 광해군
- KF-21
- 차별금지법
- 임진왜란
- 희년실천
- 치매
- 희년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연산군
- 인조
- 폐비윤씨
- 치매 예방
- Today
- Total
살림과 일상
국가통치에서 ‘영혼통치’로: 리버럴리즘을 넘어선 정치의 미래 본문
🌍 국가통치에서 ‘영혼통치’로: 리버럴리즘을 넘어선 정치의 미래
2025년, 우리는 단지 국가를 어떻게 통치할 것인가가 아니라, 어떤 ‘삶’을 국가가 국민에게 제시할 것인가를 묻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이른바 ‘영혼통치(soulcraft)’가 세계 정치의 새로운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영혼을 다스리는 정치란?
‘영혼통치’는 단순한 수사가 아닙니다. 고대 플라톤은 "국가는 시민의 품성을 형성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오늘날 세계 곳곳의 정치체제는 ‘좋은 삶’에 대한 국가 주도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시민의 자아를 형성하고자 합니다.
중국: 영혼을 설계하는 국가
시진핑은 “중국 인민의 정신세계를 풍요롭게 하겠다”고 말하며 교육과 제도를 총동원한 영혼통치를 실현 중입니다. 사회신용제도와 시진핑 사상 교육은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러시아: 정체성과 영혼의 통합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정신과 정체성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사명이라 믿습니다. 그는 “러시아 없는 세상은 우리가 원할 이유가 없다”라고 단언하며, 국가 자체를 ‘영혼’의 공간으로 이해합니다.
미국: 프로젝트 2025와 새로운 영혼통치 실험
‘프로젝트 2025’는 단지 트럼프 재집권의 청사진이 아닙니다. 보수적 기독교 가치 중심의 국가 재편성 프로젝트이며, 교육과 가족정책까지 아우르는 인간완성주의적 계획입니다.
리버럴리즘의 위기와 비(非)리버럴의 도전
공허해진 리버럴리즘은 명예, 효, 희생과 같은 인간적 가치를 희생시키고 있습니다. 반면 비리버럴 체제들은 자신만의 선명한 가치를 중심으로 국민의 자아를 형성하는 데 주력합니다.
🤝 지금 필요한 것은 '7인의 대화'
정치철학자 르페브르는 플라톤적 대화의 장을 제안합니다. 푸틴, 오르반, 배넌, 왕후닝 등이 모여 ‘좋은 삶’을 논하는 자리. 그 속에서 우리는 세계 각국의 정치 철학을 직면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결론: 정치의 본질, 다시 묻기
오늘날 정치의 본질은 단순한 행정이 아니라 ‘어떤 인간을 만들 것인가’를 묻는 영혼통치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우리 시대의 진짜 질문은 이렇습니다.
-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
- 그것을 정의할 권리는 누구에게 있는가?
국가통치에서 영혼통치로
#영혼통치#리버럴리즘비판#좋은삶 #플라톤국가#프로젝트2025#정치철학
'사회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 혁명의 시대, 인류는 어떤 공간을 만들어야 하는가? (1) | 2025.04.19 |
---|---|
2025년, 예언은 무엇을 말하는가?마나카와 브랜던 빅스의 예언 비교 분석 (0) | 2025.04.17 |
2025년, 한국의 운명이 바뀐다?! 충격 예언의 진실 파헤치기 (1) | 2025.04.16 |
산업혁명이 뭐길래 이렇게 중요할까요? (0) | 2025.04.15 |
곧 시작될 대폭락? 위기에 대한 경고와 대비 (0) | 2025.04.15 |